당천부의 재테크 가이드
당천부의 재테크 가이드
당천부의 재테크 가이드

연말 소득공제 3,000 만원 받는 법 (기부금X)

최고의 연말정산 방법인 엔젤 투자법 소개 (feat. 벤처기업인 필독)
많은 분들이 잘 모르고, 간과하고 지나치는 것이 있는데, 그것은 바로,

재테크의 기본은 바로 세금입니다.

투자를 하면 할수록, 예를 들어 저는 꾸준한 월 Cash Flow 확보를 위해 수익형 부동산의 꽃이라고 하는 상가에 지난 7년간 투자해 왔었는데요, 결국에는 세금을 줄이는 것도 수익률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. ​

그래서 투자처를 들을 때마다, "그거 수익률이 얼마야?" 가 아니라, "그거 세금은 얼마야?" 부터 묻는 부자들이 정말 "찐부자"일 확률이 높다는 것도 알게 됐고요. ​

사실, 국내에서는 주식, 채권, 미술품 등을 제외하고는 모두 아래와 같은 개인 소득세율 구간에 따른 종합 소득세를 내야 합니다. ​

보시면 페이가 좋은 대기업이나 금융, IT 업계에 다니시면서 대부분 24% 이상이고 직위가 좀 높거나 경력이 15~20년 차 정도 이상이라면 35%는 우습게 찍으실 수 있어 보입니다. ​

더구나, 의사, 변호사 같은 전문직 분들, 혹은 성공한 유튜버라든가 프리랜서 분들 같이 연 수입이 3억을 초과하시는 분들은 세율 구간이 40%라서 주민세까지 포함할 경우에는 44% 가 되니, 거의 수입의 절반이 세금이라고 보실 수 있겠네요.  헐... 세금 진짜 쎕니다ㅋ.


소득세 과세표준. 여기서 주민세 10%를 추가로 더 냅니다ㅠ



이러니, 아까 말씀드린 주식/채권/미술품 등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아무리 부수입을 많이 올려 봤자 세금이 거의 절반 가까워서 나라 좋은 일만 시키는 꼴이라 근로 및 투자 의욕이 잘 나지 않는다고 하소연하시는 분들도 봤습니다ㅎ. (채권 역시 양도 차익에 대해서만 비과세이고 배당금에 대해서는 과세가 됩니다ㅠ) ​

따라서, 연말 소득 공제를 잘하는 것이 오히려 웬만한 재테크보다 더 나은 경우가 종종 생기게 됩니다. ​

특히나 소득이 높은 고액 연봉자일수록 더더욱 그렇죠.

​그래서 오늘 소개해 드릴 연말 "소득 공제" 방안은 정말 특별해 보입니다. ​

먼저 말씀드릴 것은, 기부금은 절대 아니고요 (기부금은 공제 비율도 적긴 하지만, 그것마저도 세액 공제로 변경됐죠ㅜ), 공제받고나서 원금은 은퇴하고 나서야 받기 쉬운 연금 저축이나 IRP 도 아닙니다. ​

이것은 바로 엔젤투자 소득 공제입니다. ​

엔젤 투자란, 벤처기업 인증을 받은 벤처기업에게 3년간 투자할 경우, 3,000만 원 한도까지는 무려 "전액" 소득 공제해 주는 제도입니다. 

이 제도가 2018년부터 시행돼서 이제 5년째나 되는데 의외로 아시는 분들이 매우 적더라고요. ​  

헐... 3,000 만원이라니... 만약 소득세율 구간 40% 인 사람이 3,000 만원 소득공제를 전액 다 받는다면, 주민세까지 포함해서 세금을 무려 1,320 만원이나 절세 할 수 있다는 뜻이라서 소득이 높을수록 절세액이 굉장히 커지게 됩니다. ​

물론, 조건과 장단점이 존재하고요, 이제 그것을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
​(1) 소득 공제 조건 ​

1) 벤처 기업일것 
 - 반드시 "벤처" 인증서가 있어야 함 
 - 설립한지 5년 이내의 벤처 기업으로 착각하는 분들이 많은데, 소득공제는 설립 연도와는 무관하게 모두 받을 수 있음. 
 - 단, 설립한지 5년 이내의 벤처 기업에 투자했다가 3년 후에 처분할 경우, 주식의 양도 소득세도 공제 받을 수 있음. (비상장 기업의 경우 주식 양도 소득세가 존재함)

 ​2) 신규 발행 주식 혹은 전환 사채(메자닌)에 3년 이상 투자한 경우에만 해당 (기존 구주 취득은 소득 공제 불가) ​

 3) 상당수 분들이 잘못 알고 있는데, 벤처 기업의 소유주와 최대 주주, 대표 이사를 포함한 모든 특수 관계인들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음. ​ ​


 (2) 장점 ​

 1) 어마 무시한 공제 금액과 공제율 ​ 

3천만 원까지 : 전액 소득 공제 됨 (이런 경우는 거의 없지만, 본인 과세 표준의 50%까지만 공제) 
3천만 원~5천만 원 : 70% 소득 공제 (3천만 원까지는 100%) 
5천만 원 초과 : 30% 소득 공제 ​

이것이 얼마나 파워풀한지 계산 한번 해 보겠습니다. ​

만약 연봉 3억이 훌쩍 넘는 대기업 임원이시거나, 의사이신 경우, 소득세율 구간은 40%이므로 주민세 포함 시 총 세율은 44%입니다. ​

이때 3천만원을 벤처 인증 기업에 3년간 투자한다고 하신다면, 3천만원을 소득 공제받아서 3천만원 x 0.44 = 1,320만원을 바로 첫해에 캐시백, 즉 환급 받을 수 있게 됩니다. ​

그리고, 주식 말고 만약 전환 사채에 투자하신다면, 매년 1~6% 정도 되는 이자도 추가로 받을 수 있게 되고요. (금리는 전환 사채마다 다른데, 보통의 전환 사채는 일반 사채보다 금리가 저렴한 편임)

​특히나 주식이 아니라 전환사채로 투자하실 경우, 환금성도 매우 뛰어나게 됩니다. ​

왜냐면 대부분의 벤처 기업들은 아직 상장 전일 테니, 주식으로 투자하시면 3년 후에 현금화(Exit) 하기가 까다로울 수 있는데, 전환 사채의 경우에는 사채 만기일이 지나면 발행한 기업에서 원금을 상환해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죠. ​

또한 연금 저축 같은 것들은 금액을 불입하고 나서는 거의 은퇴할 때 쯤 되어야 원금을 찾을 수 있는데, 이 엔젤 투자는 3년만 돈이 묶이면 된다는 것도 매우 매력적입니다.

​다만, 이 공제 제도가 3천만 원까지는 100% 소득 공제 되지만, 본인 과세 표준의 50% 까지만 공제 받으니 그 점은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 ​

예를 들어, 연봉이 5천만 원인 분이, 기본 공제와 인적 공제, 기타 공제를 다 받고 난 후에 과세 표준이 4천만원이됐다면, 3천만원 엔젤 투자 시 3천만원 공제 받는 것이 아니라 2천만원까지만 공제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. 

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2천만 원까지만 투자해야 합리적일 것 같네요. ​ ​


 (3) 단점 ​

 1) 부도 확률 ​

장점만 있는 투자처는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. 어디나 단점은 존재하죠. ​

이 엔젤 투자의 최대 단점은, 3년이라는 투자 기간 동안 이 벤처 기업이 망하면 어떻게 되느냐 하는 것입니다. 

아니, 소득 공제를 100% 받는다 하더라도 내 세율이 100%일 리는 없으니, 기업이 망해서 원금이 사라지면 말짱 도루묵이기 때문입니다. ​

이건 어떻게 할 방법이 없고, 3년간 망하지 않을 벤처 기업을 잘 고르는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ㅠ.

 ​​ 2) 3년 내 망하지 않을 "벤처"기업 발굴이 난해 ​

위에 1)번 부도확률과 어찌보면 연관되어 있는데, 아니, 3년내 망하지 않을 우량 벤처 기업이 어디에 뭐가 있는지 어떻게 알까요? 

상장된 주식 회사도 잘 모르는 분들이 수두룩한 판에, 일반인 투자자들에게 이런 것을 판단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사실 좀 무리라고 생각됩니다ㅜ.

​그래서 저 역시 3~4년 전에 조금 알아보다가 포기했었던 기억이 이제야 떠오르네요ㅠ. ​

그래도 주변에 혹시라도 믿을만한 지인 등을 통해서 최소한 3년간 망하지는 않을 벤처 기업을 알게 되시고, 그 벤처 기업이 전환사채를 발행하게 된다면, 연간 3,000 만원 정도를 투자를 고려해 보시는 것을 강력히 추천 드려 봅니다.^^


ps.

사실, 일반인이 이런 믿을만한 벤처 기업을 찾는다는것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. 

오히려, 벤처 기업의 CEO가 본인과 직원들의 복지 차원에서 연말 정산을 위한 최고의 수단을 제공해 주는 것이 가장 현실성 있어 보입니다. 

그래서 본 포스트를 벤처 기업의 CEO나 임원분들이 봐 주시면 정말 좋겠네요ㅎ. (CEO 본인의 세금을 1,500 만원 정도 절약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니까요) 

댓글 쓰기